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확인방법
열기
시작
정지
오늘 하루동안 보지 않기
상단팝업 닫기
화면크기
+
ㅡ
로그인
회원가입
KR
KR
EN
CN
JP
사업별사이트
표준계약서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콘텐츠진흥원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고객센터
고객센터
고객센터
고객소통
문의답변
국민제안
실적증명서발급
기업민원보호/서비스헌장
신고센터
콘텐츠산업별불공정행위신고
방송영상독립제작사체불신고
음원(반) 사재기 신고
청렴포털부패공익신고
민원 및 소극행정신고센터
위험상황신고
공연 분야 암표신고센터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알림마당
알림마당
알림마당
지원공고
금융지원
입찰정보
견적공고
공지사항
채용정보
유관기관 주요소식
주요소식
사업공고
행사소식
표준계약서
행사정보
사업안내
사업안내
사업안내
사업소개
시설이용신청
콘텐츠문화광장
KOCCA MUSIC STUDIO
CKL스테이지
DMS
스튜디오 큐브
사업별사이트
사업관리시스템
사업관리시스템
전자평가시스템
콘텐츠지식
콘텐츠지식
콘텐츠지식
정기간행물
KOCCA 포커스
N콘텐츠
글로벌게임산업트렌드
방송영상 ・OTT 트렌드
연구보고서
보고서(ALIO)
산업백서(ALIO)
국내산업정보
국내 통계정보
국내 산업동향
문화기술 인사이트
해외산업정보
해외 통계정보
해외 산업동향
위클리글로벌
글로벌&특화보고서
세미나자료
유관기관 지식보고서
간행물
국내동향
해외동향
행사/세미나자료
전문가칼럼
콘텐츠도서관
간행물 아카이브
케이콘텐츠
CT문화와기술의만남
(구)글로벌게임산업트렌드
열린경영
열린경영
열린경영
경영공시
경영공시
통합공시 (ALIO)
일반현황
기관운영
경영성과
대내외평가
공지사항
인권경영
인권경영헌장
인권경영이행규칙
인권경영 자료
윤리경영
윤리경영 추진체계
윤리경영 헌장
임직원행동강령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방침
갑질근절
공익신고센터
반부패청렴자료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비공개대상정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공개
공공데이터개방
OPEN API
사업실명제
개인정보관리현황
홍보소통
홍보소통
홍보소통
CI·소개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이전보도자료(~2020년)
홍보자료
홍보영상
카드뉴스
슬기로운콘진원생활
KOCCA웹진
공식SNS
KOCCA캘린더
사회공헌활동
추진체계
봄봄발자국
연도별활동실적
진흥원소개
진흥원소개
진흥원소개
원장인사말
조직도
연혁
오시는길
본원(나주)
공정상생센터(역삼)
글로벌게임허브센터(판교)
CKL기업지원센터(광화문)
DMS방송제작센터(상암)
스튜디오큐브(대전)
콘텐츠인재캠퍼스(홍릉)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대전)
해외비즈니스센터
경영목표
ESG경영
ESG 경영전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콘텐츠산업 ECP 이니셔티브
안전보건경영
안전보건경영방침
안전보건경영 현황공개
고객헌장
고객헌장 전문
핵심서비스 이행표준
고객응대서비스 이행표준
서비스 이행실적
관계법령
법령
내부규정
전체메뉴
Site map
고객센터
고객센터
고객센터
고객소통
문의답변
국민제안
실적증명서발급
기업민원보호/서비스헌장
신고센터
콘텐츠산업별불공정행위신고
방송영상독립제작사체불신고
음원(반) 사재기 신고
청렴포털부패공익신고
민원 및 소극행정신고센터
위험상황신고
공연 분야 암표신고센터
연구개발과제평가단
알림마당
알림마당
알림마당
지원공고
금융지원
입찰정보
견적공고
공지사항
채용정보
유관기관 주요소식
주요소식
사업공고
행사소식
표준계약서
행사정보
사업안내
사업안내
사업안내
사업소개
시설이용신청
콘텐츠문화광장
KOCCA MUSIC STUDIO
CKL스테이지
DMS
스튜디오 큐브
사업별사이트
사업관리시스템
사업관리시스템
전자평가시스템
콘텐츠지식
콘텐츠지식
콘텐츠지식
정기간행물
KOCCA 포커스
N콘텐츠
글로벌게임산업트렌드
방송영상 ・OTT 트렌드
연구보고서
보고서(ALIO)
산업백서(ALIO)
국내산업정보
국내 통계정보
국내 산업동향
문화기술 인사이트
해외산업정보
해외 통계정보
해외 산업동향
위클리글로벌
글로벌&특화보고서
세미나자료
유관기관 지식보고서
간행물
국내동향
해외동향
행사/세미나자료
전문가칼럼
콘텐츠도서관
간행물 아카이브
케이콘텐츠
CT문화와기술의만남
(구)글로벌게임산업트렌드
열린경영
열린경영
열린경영
경영공시
경영공시
통합공시 (ALIO)
일반현황
기관운영
경영성과
대내외평가
공지사항
인권경영
인권경영헌장
인권경영이행규칙
인권경영 자료
윤리경영
윤리경영 추진체계
윤리경영 헌장
임직원행동강령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방침
갑질근절
공익신고센터
반부패청렴자료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비공개대상정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공개
공공데이터개방
OPEN API
사업실명제
개인정보관리현황
홍보소통
홍보소통
홍보소통
CI·소개자료
보도자료
보도자료
이전보도자료(~2020년)
홍보자료
홍보영상
카드뉴스
슬기로운콘진원생활
KOCCA웹진
공식SNS
KOCCA캘린더
사회공헌활동
추진체계
봄봄발자국
연도별활동실적
진흥원소개
진흥원소개
진흥원소개
원장인사말
조직도
연혁
오시는길
본원(나주)
공정상생센터(역삼)
글로벌게임허브센터(판교)
CKL기업지원센터(광화문)
DMS방송제작센터(상암)
스튜디오큐브(대전)
콘텐츠인재캠퍼스(홍릉)
문화체육관광기술진흥센터(대전)
해외비즈니스센터
경영목표
ESG경영
ESG 경영전략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콘텐츠산업 ECP 이니셔티브
안전보건경영
안전보건경영방침
안전보건경영 현황공개
고객헌장
고객헌장 전문
핵심서비스 이행표준
고객응대서비스 이행표준
서비스 이행실적
관계법령
법령
내부규정
전체메뉴닫기
단축 URL
안내
현재 페이지의 URL 주소입니다.
Ctrl+C를 눌러 클립보드에 복사
하세요.
QR 코드
생성된 QR코드는 스마트폰 앨범 또는 PC에저장됩니다.
QR코드저장
팝업닫기
스크랩
콘텐츠 기반 창조경제가 부상하는 이유
저자
노준석(KOCCA 미래전략팀장)
등록일
2013-12-04
① 콘텐츠 기반 창조경제가 부상하는 이유
|노 준 석 (한국콘텐츠진흥원 미래전략팀장)|
경제의 서비스화, 서비스 경제의 확대와 한계
지금 세계는 생산, 고용, 소비, 무역 등 경제의 서비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미 수십년 전에 콜린 클라크와 같은 경제학자와 앨빈 토플러와 같은 미래학자가 서비스업 중심의 3차 산업이나 제3의 물결을 예견했듯이 경제구조가 바뀌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소득수준이 높은 선진국일수록 제조업 비중이 낮고, 서비스업 비중이 높기 때문에 경제의 선진화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World Factbook에 따르면, 세계경제에서 서비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63.6%이나, G7 선진국들은 훨씬 높은 74.8%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서비스산업 비중이 꾸준히 높아져 GDP의 57.5%, 고용의 69.4%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또한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문화소비에 대한 구매욕구가 커져서 여행, 문화예술, 콘텐츠 등 여가문화 활동과 관련된 지출이 증가하는 가계소비의 서비스화도 확대되고 있다. 예컨대, 통계청의 2012년 기준 사이버쇼핑 상품거래조사에 따르면, 여행 및 예약서비스 거래가 5조4천억 원으로 전년대비 32.3%나 증가하였고, 2011년 기준 서비스업 통계조사에 따르면, 디지털 및 온라인 기술 발전에 따라 게임, 영상, 음악, 정보서비스업 등이 사업체, 종사자, 매출에 있어서 크게 성장하였다.
한편 한국은행의 2012년 연간 국제수지 동향에 따르면, 무역의 서비스화도 증가하고 있다. 만성적인 서비스 적자국인 우리나라는 한류 열풍과 해외 건설수주 증가로 14년 만에 서비스 수지가 흑자로 돌아섰다. 특히 개인·문화·오락서비스 수지는 1980년부터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해오다 2012년에 약 9천만 달러의 첫 흑자를 기록하였다. 이처럼 서비스산업은 인적자원의 활용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과 타 산업에 비해 고용파급 효과가 높은 전략산업으로 인식되면서 서비스 경제를 추동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서비스산업은 높은 경제적 비중에도 성장동력화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 중 하나로 지식, 혁신, 창의성이 서비스산업에 적극 반영되지 못한 점을 꼽는다. 서비스산업은 제조업에 비해 생산성이 낮아 비효율성이 크고, 대다수가 영세한 사업자로 저부가가치 업종에 종사하며, 시장진입 제한이나 규제 정책이 과다하는 등 국제 경쟁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의 제조업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고, 세계 최고의 인터넷과 모바일, 가전과 스마트폰 환경으로 IT 강국이 되었다. 그 결과 무역 1조 달러 달성, 20-50 클럽 가입, G-20 개최 등 경제 강국이 되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와 계속되는 경기침체로 저성장, 저고용, 고물가가 이어지고, 제조업의 고용 없는 성장과 높은 무역의존도로 대외환경에 약한 우리경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그래서 지금 우리나라는 지속가능한 성장 모멘텀이 필요하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장점을 연계하여 극대화하는 동시에 서비스산업의 범위를 확대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 더 나아가 신성장과 고용창출, 국가 브랜드와 국민복지에 대한 국가전략을 수정해야 한다. 바로 창조산업 육성을 통한 창조경제가 그 해답이 될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PDF)화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목록